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전남 보성군 가볼만한 곳 : 판소리 성지. 정응민 생가 (드론 영상)

by 리차드박(Richard Park) 2023. 7. 28.
728x90
반응형

보성은 차재배지로 알려졌지만 영화를 통해서 알려진 판소리 성지이다.

판소리 성지는 조선시대 명창이자 서편제 창시자인 강산 박유전 명창을 비롯해 정재근, 정응민, 조상현 선생등 서편제 계보를 이은 명창들을 기리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판소리 산실인 화천면 영천리 도강마을 일원을 주무대로 박유천 선생 기념비, 정응민 선생 생가, 득음정 등이 자리한다

보성 소리의 살아 있는 박유천 명창은 동편제의 고장 전북 순창에서 태어나 1852년 이곳 보성 강산마을로 이주해 서편제를 창시했다. 이후 동편제와 서편제의 장점을 조화시킨 강산제도 만들었다.

30명 이상 단체관람객이 방문하면 명창의 판소리, 민요 등의 공연관람이 무료로 가능하다. 보성 소리의 역사와 전통성의 맥을 이어가기 위해 조성됐다. 판소리 체험교실과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판소리의 성지 보성에서 열리는 서편제보성소리축제

전남 보성은 근대 판소리의 성지로 서편제에서 걸라진 강산제를 창시한 보성 서편제의 비조인 박유전과 보성소리를 만든 정응민 등의 소리를 계승하고 기념하고 판소리를 대중화하기 위한 축제의 장이다. 

1998년 제1회 축제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천하제일 명창무대, 전국판소리경연대회, 판소리 성지순례, 판소리 한대목 배우기 등의 다채로운 행사를 펼쳐홨다.

 

 

근대 판소리의 큰 산맥인 보성소리의 창시자 "송계 정응민 선생"의 생가가 자리한 도강마을에 위치해 있다. 

서편제 보성소리의 역사와 정통성의 맥을 이어가고 판소리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체험하는 공간이 조성되어 있다. 주요 시설로는 판소리 전수교육관, 비조 박유전선생 기념비, 판소리 전시관, 판소리 다섯마당, 야외마당, 정응민 생가, 탐방로가 있다.

 

소리의 시작

판소리는 북 장단에 맞추어 소리꾼이 몸짓을 섞어 가면서 일정한 대사와 소리로 이야기를 엮어 나가는 우리 민족 고유의 극적인 노래를 말하며 그 기원에 대해서는 크게 무"무가기원설"과 "광대소학지희설"이 있다.

무가기원설

판소리가 무당들의 노래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으로 민중들의 원한과 세상사의 어려움을 풀어주는 살풀이나 굿에 그 기원을 두는 것이다. 살풀이나 굿의 구성과 사설의 형태 구리고 이것이 노래로 불려졌다는 점, 무가를 부르는 무당의 동작과 광대의 발림에서의 유사성이 "무가기원설"을 뒷받침한다.

광대소학지희설

조선시대에 행하여지던 산대놀이의 일종인 "광대소학지의"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광대소학지희"는 즉흥적인 재담이나 화술로써 어떤 사건이나 상황을 연출해 보이는 일종의 소극이다. 남을 희롱하거나 조롱하던 고려 시대의 조희의 전통을 이어 오다 연극적인 요소가 깃들어 잡희의 형태가 되었고, 후에 판소리로 정립되었다는 것이 "광대소학지희설"이다.

 

 

판소리란 판소리(또는 소리)는 광대가 병풍을 두르고 돗자리를 펼친 마당이나 공연장에서 짧게는 세시간, 길게는 열시간 정도 걸리는 것으로 긴 이야기를 몸짓을 섞어가며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춰 노래하는 한국 전통음악의 하나이다. 일정한 극적 내용을 광대 혼자서 육성과 몸짓의 창극조로 한국 향토의 선율을 토대로 여러 가지 장단에 따라 변화시켜 연행하는 것이다.

판소리는 조선 숙종(1674~1720) 무렵에 12마당이 성립되엇고 이 중에서 7마당이 실전되고 현재 그 중에서 5마당만이 전해진다.

판소리 5마당.

춘향가, 심청가, 박타령  또는 흥보가, 토끼타령 또는 수궁가, 화용도 또는 적벽가

판소리 12마당.

춘향가, 심청가 박타령  또는 흥보가, 토끼타령 또는 수궁가, 화용도 또는 적벽가, 배비장전, 옹고집전, 변강쇠타령 또는 가루치기타령, 장끼타령, 강릉 매화전, 무숙이타령 또는 왈자타령, 가짜신선타령

 

보성소리는 박유전이 전한 서편제 판소리에 조선시대 명창 김세종이 불렀다는 동편제 춘향가와 중고제를 융합시키면서 생겨난 명칭이다.

보성소리를 완성시킨 정응민은 큰아버지 정재근으로부터 서편제 비조인 박유전의 강산제 소리를 전수받았고 서울을 떠나 고향으로 내려오던 중 명창 김찬업을 만나 동편제 김세종판 "춘향가"를 전수 받았다. 거기에 정응민의 음악성이 가미되어 나름대로 독특한 바디를 형성해 오늘날의 보성소리가 완성되었다.

보성소리에서는 판소리 다섯마당 중 [흥보가]만은 재담소리라 하여 전수하지 않았다고 하며, 일반 유파는 달리 신선하고 품격있는 느낌을 주는 특징이 있다. 특히 강산제 보성소리의 사설은 고상하고 점잖으며 도덕적인 면을 지니고 있다. 이는 보성소리의 뿌리인 박유전의 바른 인격과 어전광대로서 당시 양반들과의 교류 속에서 그들의 취향에 맞도록 사설을 다듬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다른 판소리 유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육담이나 음담패설, 욕설 같은 것은 천박한 것으로 여기고 쓰지 못하게 했으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극히 절제해서 사용하였다.

 

박유전 강산제일의 소리를 잇다.

1835년 (헌종 1년) 전북 순창군 북흥면 서마리 마재마을 (현재의 하마마을)에서 태어났다. 판소리를 하기 위해서는 출중한 외모가 중요하였으나 그는 왼쪽 눈을 다쳐 애꾸가 되었고 늘 형의 그늘 아래서 소리 한번 지르지 못했다. 박유전은 판소리 교육장 옆에서 몰래 공부하는 것을 듣고 따라 부르면서 어렵게 소리를 하였다. 그러던 중 아버지가 박유전이 소리를 더 잘한다는 것을 알고 적극적으로 공부를 시켜 25세에 통인청 대사습에 나가 심청가로 장원을 차지했으며 전라감사의 추천으로 당시 귀명창이었던 대원군을 만나게 되었다.

박유전의 소리를 듣고 탄복한 대원군은 "데가 제일강산이다"고 하여 선달 벼슬과 한쪽 눈을 가려주는 오수경, 금토시를 하사 받았고 더불어 대원군의 총애를 받을 수 있었다. 그는 판소리 선율을 세마치 장단과 여러 장단을 운용하여 정연하고 변화 있는 부침새의 기교를 부려 정교하게 짜 새로운 양식을 개발하였는데 뒤에 그의 호를 따서 "강산제"라 불렀다.

1898년 대원군의 죽음과 ㅓ1900년대 왜세에 의한 국권상실로 박유전은 "나라 잃은 명창 가객이 살아서 뭐하느냐" 라고 탄식하며 노래 부르기를 그치고 종적을 감추었다. 음식을 전폐한 채 한 겨울 날 , 굶어 죽었다고 전해지듯 그는 "충성과 절개의 명창"이렀다.

 

판소리 교육자 정응민

본관은 하동, 호는 송계, 전라남도 보성출신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심청가 기예능보유자인 정권진의 아버지이다. 큰아버지이며 박ㅇ전의 제자인 정재근과 김세종의 제자인 김찬업으로부터 판소리를 배웠다. 10대에 상경하여 협률사 창극공연활동을 하다가 고향에 돌아와 은거하며 많은 제자를 길렀다. 

정재근을 통하여 박유전의 심청가, 수궁가, 적벽가를 이어받았고, 김찬업을 통하여 김세종의 춘향가를 이어받아 전통적인 특성이 강한 정응민제 판소리 양식을 개발하여 많은 제자에게 전하였다.

그의 문하에서 김연수, 박춘성, 정권진, 김준섭, 장영찬, 성우향, 성창순, 조상현, 안향련, 박기채, 김상룡, 김명환, 정광수, 정철호, 안채봉, 김성권 등 많은 명창이 나왔다.

그의 소리제는 정권진, 성우향, 성창순, 조상현을 통하여 1970년대 이후 판소리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는 판소리가 비속한 데로 흐르는 것을 경계하였고 기품있는 예술로 승화시키는데 노력하였으며 고도의 예술 음악으로 발전시키는데 공헌하였다.

 

민간전승문화인 판소리는 민중들의 삶이 촉촉히 묻어 나오는 대중예술로서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보성의 소리가 일맥을 이룬 것은 특히 박유전에 이르러서였으며 그의 음악은 대원군에 의해 강산제라는 칭호는 받았다. 이후 그의 제자 정재근에 이어지며 정재근은 다시 강산제를 송계 정응민에서 가르치고 정응민은 이 소리를 바탕으로 동편제와 서편제를 넘나드는 보성소리를 만들었다.

 

제25회 서편제 보성소리축제가 2023.4.29 ~ 5.1 에 보성군문화예술회관과 보성판소리성지에서 열렸다.

전국 판소리, 고수 경연대회가 열렸다.

판소리에 관심이 있다면 매년 열리고 있으니까 눈여겨 보시고 내년에 신청하세요

자세한 사항은 보성문화원에 문의하거나 서편제보성소리축제 누리집을 참고하면 된다.

소리의 고장 보성

 

더 많은 동영상을 원하시면 저의 유튜브를 방문하세요

https://www.youtube.com/channel/UCIri0qOtRDddIxmp9Nx8xLA

 

주소 : 전남 보성군 회천면 영천길 17-8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