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전남 여수시 가볼만한 곳 : 묘도 봉화산 전망대 (드론 영상)

by 리차드박(Richard Park) 2024. 6. 16.
728x90
반응형

전남 여수시와 광양시 가운데 있는 섬이고 연결하는 묘도대교와 이순신대교가 있다.

 

광양만과 여수산단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묘도 봉화산 전망공원은 이순신대교 홍보관에서 도보로 약 20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묘도는 고양이 섬으로 광양만의 정 중앙에 자리 잡은 섬으로 섬의 모양이 고양이를 닮았다. 고양이가 많이 살았다 하여 묘도라 부르기도 한다. 고양이 섬은 여수 엑스포 이전까지 도선을 이용하여 진입하던 섬이었으나 지금은 여수와 묘도를 잇는 묘도대교가 완성되고 다시 묘도에서 광양시로 연결되는 이순신 대교가 완공되면서 육지나 다름없는 육지섬이다. 이곳에서는 야간에 주변 여수국가산단과 이순신대교, 광양항 일대의 야경을 조망할 수 있다. 전망대에서 묘도대교 넘어 여수산단과 부암산, 영취산, 호랑산, 전봉산까지 조망이 가능하다. 또한 묘도 봉화산(해발246m) 정상에는 문화재청과 전문가들의 자문들 받아 복원한 봉수대와 전망대 등이 조성돼 주변 경관을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다. 봉화산 중간까지는 차로 이동할 수 있지만 전망대까지는 차로 이동할 수 없다. 주차장에서부터 정상까지는 600m로 도보 약 20여분 소요된다

 

 

광양만과 여수산단을 한 눈에 조명할 수 있는 묘도 봉화산 전망공원은 이순신대교 휴게소에서 도보로 약 20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진입도로변과 전망대에는 친환경 태양광(풍력) 가로등이 설치돼 야간에 주변 여수국가산단과 이순신대교, 광양항 일대의 야경을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묘도 봉화산 정상에는 문화재청과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복원한 봉수대와 전망대 등이 조성돼 주변 경관을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도록 했다.
최근 입소문을 타면서 전망대에는 주․야간 경관을 관람하기 위해 관광객들이 모여들고 있으며, 특히 여수산단 야경을 보기 위한 사람들이 북새통을 이루면서 진풍경이 연출되고 있다.

 

묘도동 일대는 임진왜란 막바지인 1598년(선조 33면) 9월 하순부터 11월 19일 노량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이 전사하기 까지 2개월 간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이 왜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던 흔적들이 곳곳에 남아 있어 관광자원 개발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실제 명나라 수군 도독(都督) 진린 장군이 주둔했던 도독마을이 있으며, 창촌마을의 선장(船藏)개는 이순신장군이 이곳에 배를 감추어 둔 곳에서 유래되었고 온동마을 뒷산에는 유두산성터가 있다.

 

 

묘도 휴게소에서 왼쪽으로 올라가는 길이 있다. 

이 길을 따라 올라가면 주차장이 나오고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게 봉이 세워져 있다.

 

 

묘도 휴게소에서 올라가면 6대 정도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이 나온다.

 

 

주타장에서 걸어서 올라가면 계단이 나온다.

이 계단 앞이  묘도 봉화산전망대가 있다

 

 

 

과거에 통신수단으로 사용했던 봉수대를 재정비해놨다.

묘도는 임진왜란 막바지인 1598년(선조31) 9월 하순부터 11월 19일까지 노량해전이 벌어지기까지 약2개월간에 걸친 광양만전투 과정에서 이순신 장군과 명나라 수군도독 진린의 조.명연합군이 진을 쳤던 곳이다. 

진린 도독이 주둔했던 곳은 지금도 도독마을로 불리고 있으며 성의 서쪽에서 함선을 감추었던 선장개가 있다.

 

이곳 묘도봉수대는 남으로 방답진 봉수 - 전라좌수영의 북봉연대 - 진례봉수와 북으로 순천부의 성황산 봉수, 그리고 동으로 광양현의 건대산 봉수, 남해현의 소흘산(설흘산) 봉수와 서로 상응하던 사잇봉수(간봉)로 광양만 중심에 있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여겨지며 임진왜란 최후의 전투인 노량해전과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순국을 지켜본 살아있는 역사 현장이다.

이 봉수대 동쪽에는 묘도동산성이 있는데 산성은 '묘도산성', '온동산성', '유두산성', '도독산성'으로 불린다.

체성은 돌로 쌓았으며 총 둘레는 699m 이다. 이 산성은 문헌기록을 찾아 불 수 없고 성이 거의 무너져 있어서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출토 유물 가운데 기와류가 고려시대 것으로 추정되므로 이 산성은 고려시대와 그 이후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그런데 이 산성은 임진왜란 때 사용되었던 것으로 구전되고 있다.

 

 

남쪽으로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계단을 올라서 조망을 전망할 수 있다.

 

 

묘도 봉화산 전망대 북쪽은 광양시이며 이순신대교가 보인다.

 

 

 

 

묘도 봉화산 전망대 남서쪽은 여수국가산단이 보인다.

그리고 왼쪽에는 묘도대교가 보인다.

 

 

이순신대교 휴게소이다.

이곳에서 왼쪽으로 난 도로를 따라 올라가면 주차장이 나온다.

 

 

여수시는 이같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노량해전 당시 조․명연합군과 왜군의 전투상황을 담은 전황도와 안내판을 설치해서 관광객과 시민들의 역사적 인식을 제고해 나가는 관광명소로 가꾸어 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이순신대교 휴게소에 안내간판이 보인다.

 

더 많은 동영상을 원하시면 유튜브 검색 "리차드박"
https://www.youtube.com/channel/UCIri0qOtRDddIxmp9Nx8xLA

 

주소 : 전남 여수시 묘도동 산160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