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시인 김남주(1945~1994)의 해남 생가가 게스트 하우스로 꾸며졌다.
김남주기념사업회는 전남 해남군 삼산면 봉학리에 있는 김 시인의 생가에 게스트 하우스를 열었다. 기념사업회는 20돌을 맞아 생가의 개방을 추진했다. 생가는 방 2칸씩이 있는 본채와 행랑채로 짜여져 20여명이 숙식할 수 있다. 생가 옆에는 고인의 흉상과 대표 시를 새긴 공원이 조성됐다. 공원을 산책하면서 시비 ‘노래’를 비롯해 동판에 새긴 ‘조국은 하나다’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저 창살에 햇살이’ ‘자유’ 등을 만날 수 있다.
생가에는 서예가 신영복 선생이 쓴 현판이 붙었고, 옥중에서 담배 포장지에 새긴 원고와 치열했던 일대기를 담은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 이곳에 묵으려면 다음카페 ‘김남주생가게스트하우스’(cafe.daum.net/kimnamjuhouse)에 들어가 예약하면 된다. 1박에 1인은 2만원, 방 1칸은 5만원이다.이곳은 그가 태어나서 중학까지 성장기를 보낸 공간이다. 초기 작품인 ‘진혼가’ ‘잿더미’ 등을 창작한 산실이기도 하다. 그는 74년과 79년 두차례 구속됐지만 독재에 굴하지 않고 치열하게 맞서 옥중 시집 <나의 칼 나의 피>, <사랑의 무기>, <조국은 하나다> 등을 냈던 실천적 지식인이었다.
김남주는 대한민국의 시인, 시민. 사회 운동가이다. 유신을 반대하는 언론인 「함성」(뒤에 「고발」 로 개칭)을 발간하였고 인혁당 사건, 남민전 사건으로 투옥되었으며, 민청학련 사건의 관련자로 지목되어 고초를 겪었다.
1980년 남민전 사건 조직원으로 징역 15년을 선고받고 수감되었다가 1993년 2월 문민 정부 출범 이후 대통령의 특별 지시로 석방되었다.
그는 '시인'이 아닌 '전사'라고 자칭하기도 했다.
보통 일반적인 농가의 모습이다.
현재 사람은 살지 않는 생가이다.
대체로 잘 가꾸어져 있어 다행이다.
김남주 생가 왼쪽에는 시인의 시들이 돌에 새겨져 있어 방문객들을 반긴다.
민족시인 김남주시인은 박정희 대통령의 3선개헌 반대투쟁으로 옥고
박정희 대통령의 반유신투쟁으로 옥고..
감옥에서 10년을 보낸 시인은 감옥에서 그가 남긴 시 470편중에서 300편이 옥중에서 나왔다.
그리고 젊은 나이 49세에 생을 마감한다.
펜은 칼보다 강하다(에드워드 볼워-리튼)라는 말을 실천했다.
주소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봉학리 535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해남군 가볼만한 곳 : 대흥사 (38) | 2021.12.04 |
---|---|
전남 해남군 가볼만한 곳 : 대섬어촌체험공원 (60) | 2021.12.03 |
전남 해남군 가볼만한 곳 : 공재고택(공재 윤서두) (94) | 2021.11.30 |
전남 해남군 가볼만한 곳 : 고정희 생가 (84) | 2021.11.29 |
전남 해남군 가볼만한 곳 : 고산윤선도 유적지 (99) | 2021.11.27 |
댓글